무지 단순한 소스지만 내 스스로 만들어본 첫번째 스프링 배치 프로그램이다.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다른 파일에 기록하도록 작성했다.
이 작업을 위해 domain객체, fieldSetMapper객체, fieldSetCreator, 로깅을 위한 advice 만 구현하면된다. 물론 비즈니스 로직이 없어서 간단할 수도 있겠지만..

jobRepository로 디비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를 사용하고 싶었다. 이에 대한 내용이 레퍼런스에 나온다.
 
<bean id="jobRepository" class=".....MapJobRepositoryFactoryBean">

이렇게 설정하면 된단다. 근데 이렇게 하면 에러난다. transactionManager가 필수란다. 결국 트랜잭션 매니저를 설정했다.

<bean id="jobRepository" class="......MapJobRepositoryFactoryBean"
p:transactionManager-ref="transactionManager"
lazy-init="true" autowire-candidate="false" />

MapJobRepositoryFactoryBean 내부를 보면 repository로 맵을 이용하는데 트랜잭션 매니저는 왜 필요한것인지..
어렵다
spring batch 다운로드 : http://static.springframework.org/downloads/nightly/release-download.php?project=BATCH

1. 다운받은후 압축을 풀면 samples/spring-batch-samples 디렉토리에 샘플코드가 있다.

2. maven을 이용하여 이클립스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2.1 커맨드 창에서 samples/spring-batch-samples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2 mvn eclipse:eclipse 를 치면 이클립스 환경파일들이 생성되고 .classpath에 라이브러리들도 셋팅이 된다.

3. 이클립스에서 환경정보를 셋팅해야 한다. .classpath에서 라이브러리들을 셋팅할 때 사용되는 변수가 M2_REPO를 참조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4. 여기까지 완료되면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예제를 수행해 볼 수 있다.

샘플을 설치하는 중에 maven을 처음 사용해봐서 삽질 좀 했다. 먼저 이클립스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몰라서 헤매고 repository가 어디에 생성되는지 몰라서 한참을 찾아 헤맸었다. 명령어는 위에서 적었고 repository는 maven home/conf/settings.xml에서 <localRepository>repository 경로</localRepository> 를 설정해서 해결했다 이값을 설정하지 않을경우에 나같은 경우는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m2\repository 이 위치가 repository 경로로 되었다
앞으로는 스프링에 대해서 알고싶은게 있으면 요기서 알아내면 되겠네.. ㅋ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ibm dw에서 vi에 익숙하지 않은 나같은 사람을 위해 컨닝페이퍼를 만드는 아티클을 공개했다
한글로 번역되어있어 보기도 좋다 ㅋㅋ

vi 입문 -- 컨닝 페이퍼 이용하기

애자일 방법론에 대해서 처음 접한것은 2003년도 쯤이었던것 같다 그때는 한창 RUP를 공부하고 있을때인데 애자일을 접하면서 꽤나 충격적이었고 이런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을 했었다 당시엔 너무 이상적으로 보였다.
하지만 몇년이 지난 지금 곳곳에서 애자일을 적용하고 성공하는 프로젝트들을 보면서 나는 그동안 무얼 하면서 지냈나 하는 자괴감에 빠진다. 애자일을 좋아한다고 말하면서 그것을 잘알기 위해 얼마만큼의 노력을 했나 스스로 생각하면 부끄럽기만 하다. 비단 애자일 문제 뿐만은 아니다. 갑자기 이런생각이 드는 이유는 영회형 블로그의 활발한 토론(http://younghoe.info/845)을 보면서 거기에 참여할 수 없는 내자신이 너무 초라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결혼을 한 이후로는 어떻게 하면 재산을 불릴까 하는데만 생각이 치우쳐서 내 자신을 업그레이드 해야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간과하고 살았다. 그런관심들이 내 재산을 불려줄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내가 좋아하고 하고 싶어하는 일이 어쩜 개발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했었다. 주식을 시작한 후로는 전업투자까지 생각했었지만 이런 토론을 보면서 참여하고 싶지만 참여하지 못하는 내 자신에 대해 자존심상하고 내 스스로 너무 초라해보인다는 생각이 드는 것을 보면 천성 개발자인것 같다.

이제 내 인생을 조금 바꿔볼 생각이다. 원래 가려고했던 길로 되돌아 가려는 것 뿐이다. 오늘은 내인생의 로드맵을 수정하는 시간을 가져봐야겠다.

Jazz is an IBM Rationalproject to build a scalable, extensible team collaboration platform for integrating work across the phases of the development lifecycle.

Installing IBM Rational Team Concert Express-C

Test management with Jazz and IBM Rational Team Concert


자바를 이용한 함수프로그래밍 DW 원문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j-fp.html

이 아티클의 예제를 실행하기 위해서 apache commons functor 가 필요한데 아직 정식버젼이 릴리즈 되지 않아서 서브버젼(http://svn.apache.org/viewvc/commons/sandbox/functor/trunk/
)에서 받아야 한다

명령프로그래밍(Imperative programming) - 문(statement)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상태를 변경한다.
함수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 식(expression)의 계산을 강조한다.

함수프로그래밍의 특징
 - Closure와 Higher Order Function 지원
 - Lazy Evaluation 지원
 - 컨트롤 흐름을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회귀 사용
 - 참조투명성(referential transparency)의 강화
 - 부작용이 없음(?)

요즘 함수형 언어가 자주눈에 띄어서

바쁜 자바 프로그래머를 위한 스칼라 입문: 루프 때문에 당황하지 말자!

라는 아티클을 보다가 참고 자료에 있는 이 아티클을 먼저 보는게 좋을것 같아서 이 아티클을 먼저 보았다. 익숙한 자바언어를 사용하여 함수프로그래밍을 경험해보니 이해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웠던것 같다. 난이도는 초급인데 그 동안 나의 개발방식과는 차이가 많아서 처음엔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 아티클의 예제를 실행해보고 다 읽고 난 지금은 함수 프로그래밍에대해 좀 더 깊이있게 공부를 해보고 싶어졌다

1. 부동산의 개념
1-1 토지
 - 일정 범위의 지면에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의 상하(지중과 지하)를 포함하는 것(민법 제 212조)
 - 암석, 토사, 지하수 포함
 - 미채굴 광물은 제외(광업범 3조)

1-2 토지의 정착물
 - 건물, 수목, 교량, 돌담 도로의 포장 등
 - 판자집, 가식중인 수목, 정착되어 있지 않은 기계등은 동산

2. 동산과 부동산의 법률상 차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부동산의 분류
3-1 지목에 의한 토지의 분류
 - 지적법의 규정에 의해 28개의 지목을 기준으로 분류(지적법시행령 제 6조)
 - 전 :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으며 곡물, 원예작물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
 - 답 : 물을 상시적으로 직접 이용하여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
 - 과수원, 임야, 목장용지, 염전, 공장용지, 학교용지, 주차장,주유소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제방, 하천, 양어장,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 광천지 : 지하에서 온수, 약수, 석유류등이 용출되는 용출구와 그 유지에 사용되는 부지
 - 대 : 문화시설과 이에 접속된 정원 및 부속시설물의 부지, 국토의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등 관계법령에 의한 택지조성공사가 준공된 토지
 - 구거 : 용수 또는 배수를 위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춘 인공적인 수로, 둑 및 그부속 시설물의 부지와 자연의 유수가 있거나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 수로부지
 - 유지 : 물이 고이거나 , 댐, 저수지, 소류지, 호수, 연못등의 토지와 연, 왕골등이 자생하는 배수가 잘되지 않는 토지

3-2 건축법에 의한 건물의 종류
- 단독주택
- 공동주택
- 제 1종 근린 생활시설
- 제 2종 근린 생활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
- 종교시설
- 판매시설
- 운수시설
- 의료시설
- 교육연구시설
- 노유자 시설
- 수련시설
- 운동시설
- 업무시설
- 숙박시설
- 위락시설
- 공장
- 창고시설
-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 자동차관련시설
-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
- 분뇨 및 쓰레기 처리시설
- 교정 및 군사시설
- 방송통신시설
- 발전시설
- 묘지관련시설
- 관광휴게시설
- 장례식장

4 주요 부동산 용어 해설
4-1 지적관련 용어해설
가. 지적 - 지적법에 의하여 전 국토를 필지단위로 구획하여 토지에 대한 물리적현황과 법적권리관계등을 공시하고 변동사항을 연속적으로 등록관리하는 국가제도
나. 지적공부 - 지적법에 의해 지적에관한 내용을 표시하여 그내용을 공적으로 증명하는 장부
다. 필지와 획지
라. 나지(갱지, 저지), 공지, 건부지
     - 나지 : 건축물이 없는토지, 사법상의 제한은 받지 않는 토지
     - 공지 : 필지중 건물공간을 제외하고 남은 토지
     - 건부지 : 건물이 들어서 있는 부지
마. 소지, 선하지, 포락지, 공한지
     - 소지 : 자연그대로의 토지
     - 선하지 : 고압선 아래의 토지
     - 포락지 : 지반이 절토되어 무너져 내린 토지
     - 공한지 : 장기간 방치한 토지
바. 택지, 부지, 대지(垈地)
사. 대지(袋地)와 맹지
     - 대지 : 다른 택지에 둘러싸여 좁은 통로에 의해서 도로에 접하는 자루형의 모양을 띠는 토지
     - 맹지 : 타인의 토지에 둘러싸여 도로에 어떤 접속면도 가지지 못하는 토지
아. 후보지와 이행지

4-2 건축관련용어해설
가. 대지
나. 건축물
다. 지하층
라. 건축
     1) 신축
     2) 증축
     3) 개축
     4) 재축
     5) 이전
마. 건축면적
     1) 면적산정
     2) 제외되는 부분
바. 바닥면적
사. 연면적
     1) 원칙 : 하나의 건축물의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로 한다.
     2) 용적률 산정 시 제외 : 지하층, 지상층의 주차용면적, 주민 공동시설의 면적

책을 거의 다 읽어 가는 지금 드는 생각은 다시 읽어봐야겠다
몬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이 책은 책상에 앉아서 정독을 하며 의미를 되새겨 보면서 천천히 읽어봐야 할 책인것 같다
너무 철학적인것 같아...

제대로 된 독후감은 다시한번 정독한 후 다시 써야겠다..

+ Recent posts